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예외 전가
- Oracle.DatabaseError
- 자료구조
- redis 외부설정
- 예측 범위 내의 요구사항
- 웹 애플리케이션 요청 흐름
- docker
- 폐쇄망
- 의존성 설치
- 쿠버네티스 패턴
- kafkaCLI
- abstract 제어자
- apt-rdepends
- Port already in use: 9999
- 특정 행
- 오프라인 설치
- SQL 내장 함수
- image 압축
- 웹 애플리케이션 아키텍처
- redis 설정
- ubuntu redis
- REST 성숙도 모델
- 선언적 배포
- 특정 행 출력
- 도커
- 의존성 패키지 설치
- Exception Handing
- redis 명령어
- 객체
- 포함 관계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자료구조 (2)
리꾸므

Graph 여러개의 점들이 서로 복잡하게 연결되어 있는 관계를 표현한 자료구조이다. 자료구조의 그래프는 여러 개의 점들이 선으로 이어져 있는 복잡한 네트워크망 같은 모습을 가지고 있다. Graph의 구조 직접적인 관계가 있는 경우 두 점 사이를 이어주는 선이 있다. 간접적인 관계라면 몇 개의 점과 선에 걸쳐 이어진다. 하나의 점을 그래프에서는 정점(vertex)이라고 표현하고, 하나의 선은 간선(edge)라고 한다. 용어 정점 (vertex): 노드(node)라고도 하며 데이터가 저장되는 그래프의 기본 원소이다. 간선 (edge): 정점 간의 관계를 나타낸다. (정점을 이어주는 선) 인접 정점 (adjacent vertex): 하나의 정점에서 간선에 의해 직접 연결되어 있는 정점을 뜻한다. 가중치 그래프..
발걸음/일지
2022. 11. 22. 21:38

Queue 가장 먼저 입력된 자료가 가장 먼저 출력된다. 가장 나중에 입력된 자료는 모든 자료가 출력되기전까지 출력될 수 없다. FIFO(first In First Out) 혹은 LILO(Last In Last Out)으로도 부른다. 입력과 출력의 방향이 고정되어 있으며, 두 곳으로 접근이 가능하다. 데이터를 넣는 것을 'enqueue', 꺼내는 것을 'dequeue'라고 한다. Queue 특징 Queue queue = new LinkedList(); // queue에 값 추가, queue.add(데이터) queue.add(1); queue.add(2); queue.add(3); queue.add(4); 출력 방향
발걸음/일지
2022. 11. 20. 17: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