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객체
- 의존성 패키지 설치
- SQL 내장 함수
- redis 명령어
- redis 외부설정
- 오프라인 설치
- REST 성숙도 모델
- 예외 전가
- abstract 제어자
- 특정 행
- image 압축
- 자료구조
- Port already in use: 9999
- 도커
- ubuntu redis
- 선언적 배포
- 포함 관계
- 예측 범위 내의 요구사항
- Oracle.DatabaseError
- 쿠버네티스 패턴
- 웹 애플리케이션 요청 흐름
- 특정 행 출력
- redis 설정
- apt-rdepends
- Exception Handing
- 웹 애플리케이션 아키텍처
- docker
- 폐쇄망
- kafkaCLI
- 의존성 설치
- Today
- Total
목록발걸음/일지 (72)
리꾸므

오늘 한 일 개인과제를 완료하고 제출하면서 체크사항을 보니 RESTful한 API에 대한 내용이 있었다. 이에 대해 구글링하면서 여러가지 내용을 봤지만 이해가 여간 안되었다. 아직도 잘안되었는데.. 그래도 일단 명시적으로 볼 수 있는건 적어야할 것 같아서 기록해둔다. 참고 블로그와 되새김질하다보면 나도 RESTful한 API를 설계 할 수 있겠지 REST(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API - REST API는 기본적으로 URI로 자원을 표현하고, 자원에 대한 행위는 HTTP Method를 사용한다는 점이다. 이부분이 가장 핵심적이고 다른 부분보다 우선시하고 일부는 선택적으로 제공한다. URI 규칙 참고 https://pronist.dev/146

오늘 한 일 이틀에 걸친 노력 끝에 오늘 과제를 완료했다 여러번 교차검증까지 한 결과 요구사항은 문제없이 실행할 수 있는것을 확인할 수있었다. 물론... 클라이언트는 조금 안예쁘지만, 과제를 완성하면서 JPA와 controller, service, repository을 나눈 이유에 대해 조금 알 것 같다. 하지만 아직도 JAP를 생각하면 조금 복잡하고 기능을들었을때 어떤형식으로 만들면될지는 바로 떠오르지 않는다. 남은 시간으로 팀과제 마무리 짓고 강의자료 및 영상참고하면서 이해도를 좀 더 넓혀야겠다. JPA(Java Persistence API) Java 진영에서 ORM(Object-Relational Mapping) 기술 표준으로 사용하는 인터페이스 모음 자바 어플리케이션에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사용..
2주차 keyword : 객체지향, JVM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이란?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은 프로그래밍에서 필요한 데이터를 추상화시켜 상태와 행위를 가진 객체를 만들고 그 객체들 간의 유기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로직을 구성하는 프로그래밍 방법이다. 좀 더 쉽게 풀이하자면 자전거를 만들때 바퀴, 프레임,손잡이, 하나씩 조립해서 완성하는것을 객체지향이라 말 할 수 있다. 부품 객체를 만들고 하나씩 조립해서 완성된 프로그램을 만드는 기법인 것이다. 이러한 객체지향의 4대 특성은 다음과 같다 캡슐화:정보은닉 데이터 구조와 데이터를 다루는 방법을 결합시키는 것 낮은 결합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 상속:재사용 클래스의 속성과 행위를 하위 클래스에 물려주거나 하위클래스가 상위클래스의 속성과 행위를 물려받는 것 새..
오늘 한 일 스프링 강의를 따라하면서 컴퓨터 문제인지 연결문제인지, 나오지않은 오류문제가 많아서 계속 해결하면서 결국 오늘 예상보다 늦게 3주차 강의를 마무리하게 되었다. 원래는 오늘 5주차까지 끝낼 수 있었는데.. 오류를 해결하는 과정을 경험했다는걸로 위안을 삼아야겠다... 여튼 3주차 강의 마무리 숙제에 대해 간단히 정리하고자 한다. 상황 메모가 조회 시간으로부터 24시간 이내 내용만 출력하게 수정 해결 MomeRepository에 List findAllByOrderByModifiedAtDesc();를 List findAllByModifiedAtBetweenOrderByModifiedAtDesc(LocalDateTime start, LocalDateTime end);로 변경 MemoController..
오늘 한 일 오늘 드디어 스프링 입문에 들어섰다. 강의를 받고 복습한다는 느낌으로 조금 알고있는 자바 문법부터 복습을 하고 2주차 강의로 넘어갔다. 본격적으로 H2를 사용하면서 JPA 활용을 하려는데 Save를 하려면 서버가 자꾸 종료가 되었다. 그 문제로 진작끝낼수있던 강의를 4시간 넘게 구글링하고 동료들에게 자문을 구해다니다가 결국 해결하였다. 문제는 왜 해결되었는지 잘이해가 안간다는 점... 그래도 일단 기록을 하고보자. 그럼 누군가에게 도움이 되고, 언젠가는 이해할 날이 오겠지. 상황 'repository.save' 할 시 서버가 시작하자마자 종료됨 여러 오류가 있었으나 "Sequence "HIBERNATE_SEQUENCE" not found; SQL statement:" 해결하자 사라짐 데이터 ..
오늘 한 일 2주차 알고리즘 시험을 마치고 과제를 무사히 제출하였다. 그리고 이후 알고리즘을 풀고 있는데 배열을 리스트로 바꿔야하는 경우가 있어서 List에 대해 공부하게 되었다. 생각보다 좋은 메소드가 많아서 한번 배우니깐 이후로 사용하는 일이 많았고 그래서 그런지 생각보다 난이도가 낮아진 느낌이다. 내가 성장을 한것일까, 아니면 답보를 한 것일까 아직은 잘모르겠다. 그래도 내일이 기대가 된다. ArrayList 선언 ArrayList list = new ArrayList();//타입 미설정 Object로 선언된다. ArrayList members = new ArrayList();//타입설정 Student객체만 사용가능 ArrayList num = new ArrayList();//타입설정 int타입만 ..
Mini_Project01 기간: 2022.8.1(월) ~ 2022.8.4(목) 팀원 4명과 함께 미니프로젝트 만들기 ㅇ jinja2 템플릿 활용하기 ㅇ JWT 인증 방식으로 로그인 구현 위의 2가지 필수 사항 포함하여 웹사이트 만들어야 했다. : 아무지식도 없이 시작했다. 우리 팀은 전공자2명 비전공자3명으로 구성이되었다. 우리는 구상단계에서 많은 기능을 생각했고, 아름다우면서도 실질적인 웹서비스를 목표로 잡았다. 그리고 그 생각이 깨지는데는 하루도 걸리지 않았다. 진작끝나야 할 프론트 단계가 우리 모두 생각보다 오래걸렸고 4일이라는 짧은 시간안에 영상을 보면서 새로운 지식을 넣으려다보니 시간은 매우 부족했다. 우리는 그것을 제출 전날 깨달았다. 수요일, 프론트를 대충 마무리 짓고 기능 구현에 들어갔지..
오늘부터 자바언어 및 알고리즘을 배우기 시작했다. 나는 걷기반으로 목요일까지 28문제 + 주특기 과제를 해결하면 되었다. 다만 당혹스러운게 있었는데 그전까지 파이썬만 배우고 자바를 배우지 않았다는 것이다. 나는 비전공자에 전문지식 없이 0부터 시작한 초짜중에 초짜라 큰 문제였다. 알고리즘 문제를 풀자니 자바를 모르고 파이썬으로 풀어야하는데 물론 도움은 되겠지만 자바 스프링를 첫 주특기로 연마할 나에게 아쉬운 것은 분명하다. 그래서 어쩔 수 없이 다른분들 문제 풀어나갈때 나는 자바 강의 부터 시청할 수밖에 없었다.